"자꾸 원하지 않는 생각이 계속 나서 불안해요"
이금숙 기자, 도움말=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세주 교수
입력 2024.09.01 09:00
기사 스크랩 기사 복사 기사 인쇄 글꼴 설정
강박증상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원치 않는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적으로 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든 사람들이 있다. 강박증 때문인데, 강박증은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갖고 있고, 그로 인해 큰 고통을 받고 학교나 직장 등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질병이다. 강박장애는 대개 100명 중 2~3명에서 발병하며, 남녀 비율은 비슷하다. 어느 연령에서나 시작될 수 있지만 10세 전후 또는 10대 후반부터 성인 초기 사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여성보다 남성에서 일찍 발병하는 편이다.
◇특정 생각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강박사고’
강박사고(obsession)는 특정 생각이나 이미지, 충동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이를 통제할 수 없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 생각을 안 하고 싶지만 뜻대로 되질 않고, 일상에 방해가 된다. 예를 들면 좋아하는 가수의 노래나 최신 핸드폰 등에 강박적으로 집착하더라도 친구를 만나 저녁을 먹을 수 있고, 출근하는 데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 사람들은 때때로 사랑하는 사람의 안전을 염려하고, 자신이 큰 실수를 저지르지 않았는지 걱정하는데, 이 역시 강박사고와 비슷하지만, 강박장애가 없는 사람은 잠시 이런 생각을 하다가 이내 하던 일로 돌아가 그 일을 다시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끔은 원치 않는 침투적인 생각을 하지만, 강박장애는 이런 침투적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극심한 불안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고통과 불안 줄이기 위한 ‘강박행동’
강박행동은 강박사고로 인한 고통과 불안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반복하는 행동, 또는 강박사고를 유발하는 상황을 회피하려는 행동을 말한다. 예를 들어 더러워졌다는 강박사고에 의해 불안이 증가하면 반복해서 손을 씻거나 세정제를 사용하고, 조금이라도 더럽다는 생각이 드는 장소나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강박증 환자들은 강박행동을 안 할 수가 없고, 그 행동을 하느라 많은 시간을 소모하며, 강박행동을 하지 못하면 매우 고통스러워하고 불안해한다.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거나 불안과 강박사고를 회피하고 줄이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강박장애의 치료는
강박장애 치료는 약물치료가 약 70~80%의 역할을 하며, 나머지 20~30%는 인지행동치료에 의해 이루어진다. 약물치료는 뇌 시냅스 사이의 세로토닌을 증가시켜주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로 강박 증상을 치료한다.
인지행동치료는 노출 및 반응 방지를 기반으로 강박장애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인지적 왜곡을 교정한다. 그리고 강박행동과 회피행동을 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강박사고로 인한 괴로움과 불안이 저절로 감소하고 익숙해진다는 것을 반복적인 노출 훈련으로 학습시키는 ‘습관화’를 시행한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뇌수술, 경두개자기자극술 등이 있다.
[대표적인 강박증상]
1) 오염 및 씻기(결벽증)
- 과도하게 또는 특정 방식으로 손 씻기, 지나치게 오래 샤워하기
- 청소나 정리 정돈에 과하게 집착함
- 오염된 것들을 피하기 위한 지나친 행동
2) 확인 강박
- 다른 사람을 해치거나 내 실수로 끔찍한 일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물건을 놓고 오지 않았는지, 현관문이나 가스 밸브를 잠갔는지 등을 반복적으로 확인함
3) 반복 행동
- 두드리기, 눈 깜빡이기 같은 신체 움직임 또는 일상적 행동을 반복함
- 같은 작업을 3번 수행하는 등 특정 숫자를 고집함
4) 정신적 강박행동
- 사고나 나쁜 결과를 막기 위해 이전 일을 반복적으로 검토하거나 계속 기도하는 것
- 나쁜 단어가 떠오르면 중화 또는 취소하려고 좋은 단어를 생각하는 것
5) 기타 강박 증상
-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쌓아두거나 필요 없는 물건을 잔뜩 수집함
- ‘딱 알맞게 되었다’는 느낌이 들 때까지 정리 정돈을 지속함
- 확인을 얻기 위해 계속해서 이야기하거나 질문함
- 잘못했다는 생각이 반복해서 들고, 잘못을 용서받기 위해 계속 고백함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8/30/2024083002213.html
|